본문바로가기
Export & Import Info Center - 대한민국 수산물 수출입 발전에 한국수산무역협회가 앞장서겠습니다.

해외시장정보&무역통계

 

수출입 통계자료 해외시장동향 비관세 및 FTA ※ 자료만 선택하실 경우 해당 자료 전체를 보실 수 있습니다.
선택완료
통합공고 목록 자세히 보기
[해외시장동향] 中 신선식품시장 키워드 ‘수입’과 ‘온라인’

2017.02.07

중국

中 신선식품시장 키워드 ‘수입’과 ‘온라인’
2017-02-02 강민주중국상하이무역관

신석식품 온라인 판매 점유율 60% 넘어 -

종합 유통채널 및 전문 유통채널의 동시 발전한국 상품 진입 가능한 유통채널 많아져 -

 


 

external_image

자료원동방망()

 

□ 중국 신선식품 전자상거래 비약적 발전

 

  ㅇ 최근 신선식품 전자상거래가 빠른 속도로 발전함에 따라 시장 규모도 끊임없이 확장하고 있으며농산품 소매유통의 새로운 경로가 됐음아이리서치(iresearch, 艾瑞)의 <중국 신선식품 산업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2016년 중국 신선식품 시장의 전자상거래 거래 규모는 905억 위안에 달할 것으로 예측됨.

 

2010~2018년 중국 신선식품 전자상거래 시장 거래 규모

EMB000033345444

자료원아이리서치 <중국 신선식품 산업 연구보고서>

 

  ㅇ 2017년 1월 알리바바가 발표한 <2017 중국 가정 식탁 소비 트렌드 보고서>에 따르면, 2014~2016년 온라인 브랜드 신선식품 판매액은 신선식품 판매 총액 점유율 중 34.6%에서 60.5%까지 증가했음.

 

  ㅇ 과일의 경우 2016년 중국 수입과일 총액은 처음으로 50억 달러를 넘어섰고 전년동기대비 16% 증가함동방망()의 보고서에 의하면, 2016년 40%의 소비자들이 전자상거래를 통해 과일을 구매한 경험이 있으며, 2017년에도 큰 폭으로 성장해 60%에 달할 것으로 예측됨전자상거래 플랫폼은 수입 과일의 핵심 판매 유통채널로 자리매김할 것임  

 

□ 수산품과일식용가금은 수입산이 주류원산지 다양

 

  ㅇ 크로스 보더(跨境) 전자상거래 시장의 급속 성장으로 중국 소비자들은 이미 세계 각국에서 생산되는 다양한 식품들을 소비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수입 신선식품에 대한 수요는 갈수록 늘어나고 있음그중 수산품과일식용 가금류 등의 식품이 주요 수입산 품목에 해당함.

  

중국 주요 신선식품 수입총액 및 증가속도

EMB000033345447

자료원: <2017 중국 가정식탁 소비 트렌드 보고서>, 상무부 대외무역사

 

 1) 수입 과일

 

  ㅇ 자유무역협정 등의 영향으로 칠레페루오스트레일리아뉴질랜드 및 아세안 회원국(태국베트남필리핀 등)이 주요 대중국 과일 수출 국가이자 온라인 수입과일 시장 강자로 부상함.

 

  ㅇ 알리바바 연구원 데이터에 따르면, 뉴질랜드산 키위태국산 두리안칠레산 체리베트남산 망고는 2016년 중국 시장에서 가장 많은 인기를 누렸던 수입과일임.

 

  ㅇ 아보카도는 최근 들어 중국 수입 과일 중 새로운 강자로 등극했음최신 수입 통계에 의하면, 과거 10년간 중국의 아보카도 소비량은 대폭 성장했고 아보카도 수출국 중 칠레의 비중이 가장 큼.

    - 2015~2016년 수확기 중 칠레는 5241톤의 아보카도를 중국에 수출했으며이는 칠레의 대아시아 아보카도 수출의 92%에 해당하는 양임중국 시장에 일찍 진출했던 칠레 블루베리도 시장보급률이 더욱 높아져 칠레는 세계 주요 블루베리 수출 국가 중 하나가 됨. 2015~2016년 수확기 내 대중국 블루베리 수출량은 약 9만 톤에 달함.

 

EMB000033345448

자료원: 

 

  ㅇ 현재 한국에서 수입되는 과일은 포도 위주인데포도는 쉽게 손상되는 과일이기 때문에 근거리 국가가 우위를 지님그러나 향후 인도와 중국 간의 자유협정이 체결되면 인도산 포도가 대거 중국 시장에 들어올 것으로 예상돼, 기존 수입국들에게 적지 않은 타격이 있을 것임.

 

 2) 수입수산물

 

  ㅇ 2016년은 수산식품의 ‘서구화’ 현상도 두드러진 한 해였음중국 해관 통계에 따르면, 2016년 1~11월 중국 수입 수산물은 367만 톤으로 전년동기대비 5.8% 성장했고수입액은 1185조1000억 위안으로 9.7% 성장함.

  

  ㅇ 2014~2016년 3년간 중국의 대세계 새우 수입량은 미국에 이어 2위를 차지할 정도로 폭발적으로 증가함.

    - 러시아산 아마에비(홍새우), 에콰도르산 흰새우베트남산 홍다리얼룩새우캐나다산 아마에비아르헨티나산 대롱수염새우 등의 다양한 품종들이 소비자의 선택을 받았고, 그 중 아르헨티나산 대롱수염새우의 인기가 제일 높았음.

    - 2014~2016년 중국의 수입 수산물 온라인 거래액은 6배 이상 증가했으며베트남산 홍다리얼룩새우는 후발주자임에도 불구하고 그 증가폭이 가장 빠른 것으로 나타남.

 

  ㅇ 그 외에도 캐나다아르헨티나덴마크는 온라인 수입 수산물의 주요 원산국가임. 앞에서 언급한 수입 새우류 외에도 칠레산 킹크랩미국산 랍스터뉴질랜드 오렌지 라피(빙어과 어류)는 2016년 트렌드 상품이 됨.

 

EMB000033345449
자료원: 易果生鮮 

 3) 식용 가금

  ㅇ 최근 들어 중국인들은 우수한 맛을 추구할 뿐만 아니라 식품의 영양 면에서도 눈높이가 높아지고 있음지방 함유량이 낮으나 단백질 함유량은 높은 소·양고기가 소비자들 사이에서 인기를 얻고 있음. 2013~2016년 온라인 소고기 신선식품 판매액은 6배 이상 증가함.
    우수한 자연환경으로 유명한 오스트레일리아와 뉴질랜드는 수입산 소·양고기의 주요 생산국가임오스트레일리아의 스테이크류,뉴질랜드의 생양고기 및 양고기류쇠꼬리 등의 수요가 꾸준히 증가함.
 
  ㅇ 이 외에도 중국으로 앞다퉈 들어오는 많은 신선식품들은 소비자들의 개별 수요를 만족시키고 있음신선식품 수출비중이 적은 국가들은 특색상품을 활용해서 빠른 속도로 중국 시장을 개척하고 있음그 예로 튀니지산 석류폴란드산 칠면조이스라엘산 자몽라트비아산 어류 제품 등이 있음.

EMB00003334544a

 

자료원: CBN Data 

 

□ 상하이·베이징은 신선식품 소비의 주력군시장(西藏)은 하위권

 

  ㅇ <2017 중국 가정 식탁 소비 트렌드 보고서>에 따르면, 1선 도시는 신선식품 소비력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드러남상하이베이징은 전국 각 지역 가정 식탁 신선식품 소비력 순위에서 1·2위를 차지함저장(浙江), 장쑤(), 광동(广) 3성은 그 뒤를 바짝 쫓고 있음칭하이(), 신장(新疆), 시장(西藏) 3성은 신선식품 소비 순위에서 하위 3위를 차지함에 따라 서부 내륙의 신선식품 소비습관 형성은 시간이 걸릴 것으로 판단됨.

    - 2017년 초 상하이에서 진행된 전국 수산냉동품연맹 제1회 3차 회의에 따르면, 상하이 시민의 수산물 연간 소비량은 전국 도시 중1위를 기록했으며, 1인당 평균 소비량 또한 상위권을 기록함.

 

  ㅇ 소득 수준이 높은 중국 소비자들의 경우 대부분이 신석식품을 즐겨먹지만, 특정 지역 소비자들의 선호 신선식품은 다소 상이함베이징 시민들은 냉동새우생소고기 및 해산어류 등을 좋아하지만상하이의 경우 달걀연어생돼지고기가 구매 순위 1~3위를 차지함.광동 지역 사람들은 부레풀(물고기의 부레를 건조한 것으로 탕을 끓일 때 주로 사용), 사과체리를 좋아함.

 

중국 가정 선호 신선식품 지도

EMB00003334544b

 자료원: <2017 중국 가정식탁 소비 트렌드 보고서>

 

□ 편리성 추구하는 1·2선 도시 소비자들즉석식품류 신선식품 찾기 시작해

 

  ㅇ 최근 중국인의 식탁에도 간단한 조리 후 먹을 수 있는 즉석식품이 주목을 받기 시작함특히 신선 즉석식품은 생활패턴이 빠르고, 요리할 시간이 상대적으로 부족한 1·2선 도시 젊은 소비자들의 든든한 한 끼 식사를 해결해주면서 인기를 끌고 있음 

 

  ㅇ 데이터에 따르면 2016년 1, 2선 도시 소비자들 사이에서 냉동새우해삼연어어묵 등의 판매량이 빠르게 상승함이 지역의 젊은 소비자들은 편리성을 더욱 강조하면서 완자류(잘게 다진 고기에 달걀두부 따위를 섞어 둥글게 빚은 뒤, 밀가루를 바르고 다시 달걀을 씌워서 기름에 지진 음식상품에 선호도가 치중돼 있음연령대가 비교적 높은 소비자들은 상품 품질에 대한 요구가 높고해삼냉동새우를 선호함.

 

EMB00003334544c

자료원: <2017 중국 가정식탁 소비 트렌드 보고서>

 

□ 전망 및 시사점

 

  ㅇ 전통적인 유통 채널과 비교했을 때신선식품의 전자상거래 유통 전망은 더욱 밝을 것으로 예상됨현재 전체 소비시장에서 전자상거래 침투율은 이미 20~30%에 이르렀으나, 신선식품 전자상거래 침투율은 이의 0.001%에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파악됨전문가들은 향후 5년 내로 신선식품 전자상거래 시장 규모가 1000억 위안에 달할 것이라고 보고 있음.

 

  ㅇ 건강에 대한 중국 소비자들의 관심이 상당한 수준에 이르면서 친환경유기농 수산물들이 인기를 끌고 있으며, 이는 한국에 큰 경쟁력으로 작용하고 있음티몰(天猫)의 조사에 따르면, 온라인 채널에서 유통되는 한국산 신선식품은 주로 어류 통조림게맛살젓갈,김치어묵류다시마 등이 있음.

 

  ㅇ 현재 전자상거래 신선식품의 핵심 경영 모델은 종합형 및 수직형 2종류가 있음전자는 티몰(天猫), 징동(), 아마존(亚马逊)등이 대표적이며 후자는 워마이왕(买网), 이궈셩셴(易果生), 톈톈과원(天天果), 슌펑요우쉔(优选등이 대표적임종합형은 유통량과 품목이 많고수직형은 단골 고객이 많음시장 진출을 원하는 한국 기업들은 종합형과 수직형 모두 접목시킬 수 있음.

    이궈셩셴(易果生)은 2016년 말 우루과이 수출투자촉진국과 손을 잡고, 우루과이산 망고의 중국 전자상거래 진출을 추진함.

    칠레 과일수출상협회는 티몰과 함께 특수 협의서를 체결함으로써 알리바바와 계약을 체결한 첫 번째 칠레 민영기업이 됨협의의 목적은 중국 전자상거래 시장을 통한 칠레 과일의 직접 판매 촉진임.

 

  ㅇ 중국인들은 최대 명절인 춘절을 앞두고 양질의 음식을 대량으로 구매하는 습관이 있음이 시기를 타고 수입산 신선식품의 판매량은 빠른 속도로 증가하며 우수한 원산지 환경유기농 기법빠른 배송을 겸비한 한국산 제품들도 중국 소비자들로부터 충분히 각광받을 수 있을 것으로 보임이를 위해서 질검총국(检验检), 식품약품감독총국(家食品督管理및 해관의 수산물 통관위생검역 관련 최근 규정조건수입통관 불허 사례 등을 철저히 파악하는 준비가 병행돼야 함.

 

 

자료원아이리서치 <중국 신선식품 산업 연구보고서>, 알리바바연구원 <2017 중국 가정식탁 소비 트렌드 보고서>, 제일재경일보(第一财经), 이궈성셴(易果生)통계자료중국 해관 수산물 통계 및 KOTRA 상하이 무역관 자료 종합 

목록

주요 수출 상품 목록 자세히 보기
다음 글 중국 해관통관 사건사례
이전 글 中, 과자류 미생물기준 완화 예정